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특별한 장기 적금 상품입니다. 하지만 가입할 은행을 고르고, 적합한 앱을 설치하고, 우대 조건을 챙기는 과정이 헷갈릴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앱 설치 링크 → 기본 금리 비교 → 은행별 우대 조건 분석 → 활용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해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한 은행, 앱 설치는 어떻게?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8월 기준 11개 주요 은행에서 개설 가능합니다. 가입은 모바일 앱이나 영업점 방문으로 가능하며, 앱 설치는 아래 표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요.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모바일 앱 설치
은행명 | 어플명 | 다운로드 |
국민은행 (KB) | KB스타뱅킹 | Android / iOS |
신한은행 | 신한 쏠(SOL) | Android / iOS |
우리은행 | 우리WON뱅킹 | Android / iOS |
하나은행 | 하나원큐 | Android / iOS |
농협은행 (NH) | NH스마트뱅킹 | Android / iOS |
기업은행 (IBK) | i-ONE뱅크 | Android / iOS |
부산은행 | 썸뱅크 (SUM BANK) | Android / iOS |
광주은행 | 스마트뱅킹 | Android / iOS |
전북은행 | JB 스마트뱅킹 | Android / iOS |
경남은행 | 투유뱅크 | Android / iOS |
대구은행 | iM뱅크 | Android / iOS |
✔️ 설치 후 본인 인증 → 청년도약계좌 신청 메뉴로 바로 이동 가능
✔️ 은행별 가입 조건에 차이가 있으니 앱 내 공지사항·상품 안내 탭을
확인해보세요.
2. 2025년 기준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 비교 (연 %)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는 은행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우대 조건을 충족 시 연 5.5%~6.0% 수준까지 수익 기대가 가능합니다. 아래 표에서 기본 금리 수준을 먼저 확인하세요.
국민은행 | 3.60% |
신한은행 | 3.70% |
우리은행 | 3.65% |
하나은행 | 3.55% |
농협은행 | 3.60% |
기업은행 | 3.80% |
부산은행 | 3.50% |
광주은행 | 3.40% |
전북은행 | 3.45% |
경남은행 | 3.50% |
대구은행 | 3.55% |
📌 참고: 기본 금리에 더해 우대조건 충족 시 기대 수익률이 크게 상승할 수 있어요.
3. 은행별 대표 우대조건 정리
각 은행은 청년 고객에게 맞춤형 우대 조건을 제공하며, 보통은 급여이체, 자동이체, 특정 카드 실적 등을 기준으로 합니다.
국민은행 | 급여이체, KB스타클럽 가입, 공과금 자동이체, 앱 로그인 |
신한은행 | SOL 로그인, 실사용 체크카드 월 기준 실적, 마이데이터 동의 |
우리은행 | WON적금 유지, 우리카드 실적, 주택청약저축 가입 |
하나은행 | 급여이체, 하나머니 적립 실적, 하나원큐페이 사용 |
농협은행 | NH포인트 적립, NH카드 사용 실적, 농협보험 유지 |
기업은행 | i‑ONE뱅크 이체 실적, IBK카드 실적, 공공요금 자동이체 |
부산은행 | SUM뱅크 가입·사용, 부산카드 사용 실적, 지역화폐 사용 |
광주은행 | 스마트뱅킹 이체, 지방세 납부 건, 체크카드 실적 |
전북은행 | 자동이체 가입, 휴대폰 요금 납부, 주거래 실적 유지 |
경남은행 | 모바일 로그인, 급여이체, GKN카드 사용 실적 |
대구은행 | iM뱅크 로그인, 카드 실적 충족, 적금 자동이체 유지 |
⚠️ 각 은행의 우대조건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입 전 반드시 앱 내 상품설명서 또는 상담원 안내를 통해 최신 기준을 확인하세요.
4. 주의사항
✅ 팁
-
가입 시 은행별 금리+우대조건 비교는 필수! 스마트폰 앱으로도 바로 비교 가능해요.
-
자동이체 설정 후 반드시 자동이체 일자 통지. 납입이 누락되면 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
중도 해지 대비 비상금 계좌 마련. 계좌 해지 시 모든 지원금이 회수되므로 꼭 대비해두세요.
-
2년 경과 후 제공되는 부분 인출 기능 활용. 기존 납입액의 최대 40%까지 1회 인출 가능 (계좌 유지 조건)
-
신용점수 가산 혜택 조건 충족
일부 은행은 2년 이상 유지 및 일회 이상 납입 조건 충족 시 신용점수 5~10점 가산 (은행별 상이) -
소득 확인 자료,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입 내역 등 사전 준비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면 바로 개설 가능해요.
⚠️ 주의사항
-
중복 가입 금지: 청년내일저축계좌, 이전 청년희망적금 등과 중복 가입 불가
-
해지 시 패널티: 지원금 전액 회수, 이자 제외 순수 납입금만 반환
-
불완전 정보 주의: 블로그나 SNS에 있는 일부 정보는 오래된 정보일 수 있으니 반드시 최신 상품설명서 확인
-
금리 변동 가능성: 기본 금리와 우대금리는 금융 시장 상황 및 은행 정책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지원금 지급 조건도 함께 체크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 상품이 아니에요. 정부 기여금 + 비과세 이자 + 은행 우대금리까지 합쳐져 청년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모을 수 있는 최고의 정부지원 금융 수단입니다.
가입 요약:
-
해당 연령대·소득 조건 충족 여부 확인
-
앱 설치 후 가입 가능한 은행 비교
-
기본 금리 및 우대 조건 꼼꼼히 체크
-
자동이체 및 유지 조건 설정
-
부분 인출이나 해지 시점 등 중장기 계획 수립
5년 뒤
5,000만 원 이상의 자산 형성을 목표로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이 글의 정보를 참고하시면
더 균형 있는 선택과 계획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