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앱 설치·우대조건 총정리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특별한 장기 적금 상품입니다. 하지만 가입할 은행을 고르고, 적합한 앱을 설치하고, 우대 조건을 챙기는 과정이 헷갈릴 수 있어요.

cheongnyeon-savings-bank-rate-2025

이번 글에서는 앱 설치 링크 → 기본 금리 비교 → 은행별 우대 조건 분석 → 활용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해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한 은행, 앱 설치는 어떻게?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8월 기준 11개 주요 은행에서 개설 가능합니다. 가입은 모바일 앱이나 영업점 방문으로 가능하며, 앱 설치는 아래 표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요.

👉 청년도약계좌 온라인에서 가입신청하기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모바일 앱 설치

은행명 어플명 다운로드
국민은행 (KB) KB스타뱅킹 Android / iOS
신한은행 신한 쏠(SOL) Android / iOS
우리은행 우리WON뱅킹 Android / iOS
하나은행 하나원큐 Android / iOS
농협은행 (NH) NH스마트뱅킹 Android / iOS
기업은행 (IBK) i-ONE뱅크 Android / iOS
부산은행 썸뱅크 (SUM BANK) Android / iOS
광주은행 스마트뱅킹 Android / iOS
전북은행 JB 스마트뱅킹 Android / iOS
경남은행 투유뱅크 Android / iOS
대구은행 iM뱅크 Android / iOS

✔️ 설치 후 본인 인증 → 청년도약계좌 신청 메뉴로 바로 이동 가능
✔️ 은행별 가입 조건에 차이가 있으니 앱 내 공지사항·상품 안내 탭을 확인해보세요.

2. 2025년 기준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 비교 (연 %)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는 은행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우대 조건을 충족 시 연 5.5%~6.0% 수준까지 수익 기대가 가능합니다. 아래 표에서 기본 금리 수준을 먼저 확인하세요.

국민은행 3.60%
신한은행 3.70%
우리은행 3.65%
하나은행 3.55%
농협은행 3.60%
기업은행 3.80%
부산은행 3.50%
광주은행 3.40%
전북은행 3.45%
경남은행 3.50%
대구은행 3.55%

📌 참고: 기본 금리에 더해 우대조건 충족 시 기대 수익률이 크게 상승할 수 있어요.

3. 은행별 대표 우대조건 정리

각 은행은 청년 고객에게 맞춤형 우대 조건을 제공하며, 보통은 급여이체, 자동이체, 특정 카드 실적 등을 기준으로 합니다.

국민은행 급여이체, KB스타클럽 가입, 공과금 자동이체, 앱 로그인
신한은행 SOL 로그인, 실사용 체크카드 월 기준 실적, 마이데이터 동의
우리은행 WON적금 유지, 우리카드 실적, 주택청약저축 가입
하나은행 급여이체, 하나머니 적립 실적, 하나원큐페이 사용
농협은행 NH포인트 적립, NH카드 사용 실적, 농협보험 유지
기업은행 i‑ONE뱅크 이체 실적, IBK카드 실적, 공공요금 자동이체
부산은행 SUM뱅크 가입·사용, 부산카드 사용 실적, 지역화폐 사용
광주은행 스마트뱅킹 이체, 지방세 납부 건, 체크카드 실적
전북은행 자동이체 가입, 휴대폰 요금 납부, 주거래 실적 유지
경남은행 모바일 로그인, 급여이체, GKN카드 사용 실적
대구은행 iM뱅크 로그인, 카드 실적 충족, 적금 자동이체 유지

⚠️ 각 은행의 우대조건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입 전 반드시 앱 내 상품설명서 또는 상담원 안내를 통해 최신 기준을 확인하세요.

4. 주의사항

✅ 팁

  1. 가입 시 은행별 금리+우대조건 비교는 필수! 스마트폰 앱으로도 바로 비교 가능해요.

  2. 자동이체 설정 후 반드시 자동이체 일자 통지. 납입이 누락되면 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3. 중도 해지 대비 비상금 계좌 마련. 계좌 해지 시 모든 지원금이 회수되므로 꼭 대비해두세요.

  4. 2년 경과 후 제공되는 부분 인출 기능 활용. 기존 납입액의 최대 40%까지 1회 인출 가능 (계좌 유지 조건)

  5. 신용점수 가산 혜택 조건 충족
    일부 은행은 2년 이상 유지 및 일회 이상 납입 조건 충족 시 신용점수 5~10점 가산 (은행별 상이)

  6. 소득 확인 자료,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입 내역 등 사전 준비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면 바로 개설 가능해요.

⚠️ 주의사항

  • 중복 가입 금지: 청년내일저축계좌, 이전 청년희망적금 등과 중복 가입 불가

  • 해지 시 패널티: 지원금 전액 회수, 이자 제외 순수 납입금만 반환

  • 불완전 정보 주의: 블로그나 SNS에 있는 일부 정보는 오래된 정보일 수 있으니 반드시 최신 상품설명서 확인

  • 금리 변동 가능성: 기본 금리와 우대금리는 금융 시장 상황 및 은행 정책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지원금 지급 조건도 함께 체크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 상품이 아니에요. 정부 기여금 + 비과세 이자 + 은행 우대금리까지 합쳐져 청년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모을 수 있는 최고의 정부지원 금융 수단입니다.

가입 요약:

  1. 해당 연령대·소득 조건 충족 여부 확인

  2. 앱 설치 후 가입 가능한 은행 비교

  3. 기본 금리 및 우대 조건 꼼꼼히 체크

  4. 자동이체 및 유지 조건 설정

  5. 부분 인출이나 해지 시점 등 중장기 계획 수립

5년 뒤 5,000만 원 이상의 자산 형성을 목표로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이 글의 정보를 참고하시면
더 균형 있는 선택과 계획이 가능합니다!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

minsaeng-coupon-balance-ch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