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지원금, 주유소에서 결제 가능할까? 사용 가능한 주유소 찾는 법

 2025년 하반기, 정부가 지급하는 민생회복지원금이 전국적으로 본격 시작되면서 매일같이 차량을 운행하거나 출퇴근으로 기름을 자주 넣는 분들이라면 주유소에서도 사용 가능한가요? 라는 질문부터 하시게 되는데요.

단순히 ‘된다’ 또는 ‘안 된다’로 답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주유소에서 사용 가능한 게 아니기 때문이죠. 운영 주체, 매출 조건, 지역 정책 등에 따라 가능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과 확인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minsaeng-support-gas-station-guide

이번 포스팅에서는 민생회복지원금을 주유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건, 실제 확인 방법,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안내해 드릴게요. 실제 사용 후기도 함께 담았으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꼭 도움이 되실 거예요.

민생회복지원금, 모든 주유소에서 사용 가능한 건 아니에요

지원금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주유소에서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정부가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을 설계한 목적 자체가 대기업보다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조건이 따로 존재합니다.

먼저, 대형 정유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 주유소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예를 들어 SK에너지 직영, GS칼텍스 직영, S-OIL 직영, HD현대오일뱅크 직영 등은 모두 제외 대상입니다. 이런 곳은 본사에서 직접 관리하며 매출 규모도 상당하기 때문에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반면에 가맹 형태로 개인사업자가 운영하는 주유소, 즉 자영 주유소에서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여기서도 또 하나의 조건이 있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등록 여부는 주유소마다 다르기 때문에 직접 확인이 필요해요.

✔ 민생회복지원금 주유소 사용 가능 조건 요약

  •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사업장

  •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가맹점 등록

  • 개인사업자 운영 주유소 (직영점 불가)

  • 해당 지자체의 허용 정책 범위 내 사용 가능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 확인하는 3가지 방법

직접 방문하기 전에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먼저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아래 방법들을 활용하면 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요.

1. 지역화폐 앱 활용

각 지역별로 운영되는 지역화폐 앱을 활용하는 게 가장 직관적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거주자는 서울페이플러스, 경기도 주민은 경기지역화폐’ 앱을 이용하면 됩니다.

앱 내 ‘가맹점 찾기’ 메뉴에서 ‘주유소’ 카테고리로 검색하면, 사용 가능한 주유소가 리스트 또는 지도 형태로 나타납니다. 위치 기반으로 가까운 가맹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2.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 이용

민생회복지원금을 카드사 포인트로 지급받은 경우, 해당 카드사의 홈페이지나 앱에서도 가맹점 검색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민생지원금 사용처 찾기’ 메뉴가 있으며, 이 메뉴에서 ‘주유소’로 분류해 사용처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3. 오일나우 앱 활용

운전자라면 많이들 사용하는 오일나우 앱에서도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주유소를 찾을 수 있어요. 지역화폐 사용 가능 여부를 필터로 선택할 수 있고, 주유 가격 비교도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기름값까지 아끼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게다가 지도 기반으로 경로 안내도 해줘서 낯선 지역에서도 유용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키오스크 결제는 예외?

무인 결제 시스템이 점점 보편화되면서 주유소에도 키오스크가 많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키오스크에서는 민생회복지원금이 결제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이는 지역화폐 결제가 직원 결제 단말기를 통해서만 가능하게 설정된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무인 주유기를 이용하기 전에 직원에게 반드시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가능한 경우엔 직원 단말기를 통해 직접 결제하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간혹 키오스크로 결제했다가 결제 실패 후 이중 결제까지 겪는 분들도 계시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원금 신청부터 사용까지, 꼭 챙겨야 할 일정

민생회복지원금은 2025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지급이 시작되었고,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됩니다. 기한을 놓치면 자동 소멸되므로 꼭 체크해두셔야 해요.

  • 1차 지급 신청 기간: 7월 21일 ~ 9월 12일

  • 2차 추가 지급 신청 기간: 9월 22일 ~ 10월 31일

  • 모든 지원금 사용 기한: 11월 30일까지 (미사용분 자동 소멸)

신청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충전, 선불카드 수령, 지역화폐로 충전 세 가지 방식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주유소에서 활용을 주목적으로 한다면 카드 포인트 충전 방식이 가장 범용성이 높습니다.

사용 지역 제한도 주의해야 합니다

또 하나 중요한 포인트! 민생회복지원금은 신청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내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즉, 서울에 거주 중이라면 서울에서만, 경기 화성시에 살고 있다면 화성시에 있는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이 부분을 모르고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려다 결제가 거부되는 사례도 많기 때문에, 여행 중에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지원금으로 주유가 어렵다면, 이런 방법도 있어요

실제로 ‘내 동네엔 조건 맞는 주유소가 없다’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이런 경우엔 간접적인 주유비 절약 전략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 지역마트, 편의점 등 생필품에 민생회복지원금 사용

  • 주유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금으로 아끼기

  • 차량 정비소, 세차장 등 운전자용 서비스 가맹점도 확인

  • 자동차 용품점, 타이어 매장 등 활용처 분산 사용

즉, 기름값만큼 생활비를 다른 데서 아껴서 주유비를 확보하는 방식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스미싱 피해 주의

최근 ‘지원금 지급 완료’, ‘주유소 사용 가능 확인’ 등의 제목으로 정부 또는 카드사 사칭 스미싱 문자가 유포되고 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은 정부24 또는 카드사 앱에서만 신청 가능하며, 문자로 링크를 보내는 일이 절대 없기 때문에 이런 메시지를 받으셨다면 바로 삭제하세요. 특히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절대 응답하지 마시고, 공식 홈페이지만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민생회복지원금은 단순히 할인이나 소비 권장 목적이 아닙니다.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착한 소비’ 캠페인입니다. 따라서 내가 이 정책의 수혜자라는 마음으로 조금만 더 관심을 갖고, 사용 조건을 잘 확인하신다면 주유소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앱에 접속해 주변 주유소 가맹 여부부터 확인해보세요. 지원금으로 주유비도 아끼고, 내 지역 소상공인에게도 힘이 되는 일석이조의 소비가 가능하답니다. 기한 내에 꼼꼼히 챙겨서, 민생회복지원금 모두 알뜰하게 사용하시길 응원합니다!

신고하기

이 블로그 검색

태그

minsaeng-coupon-balance-ch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