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체육 현장에서 땀 흘리며 국민 건강 증진에 힘쓰고 있는 분들, 혹시 나는 왜 이렇게 보상이 없을까? 생각하신 적 있지 않으신가요?
그런 분들을 위해 경기도가 준비한 정책이 바로 체육인 기회소득입니다. 2025년에는 자격 기준이 완화되고 지원대상도 확대되어 더 많은 체육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바뀌었어요. 오늘은 그 내용을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체육인이신가요?
조건에 맞는다면 지금 바로 예산 소진전, 신청을 시작해 보세요!
체육인 기회소득, 어떤 제도인가요?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은 경기도에서 활동 중인 체육인을 대상으로 연간 최대 150만 원의 현금성 지원금을 지급하는 정책이에요.
단순히 수고비를 주는 개념이 아닌, 체육인의 사회적 역할과 활동 가치를 인정하는 제도예요. 특히 전문 선수뿐 아니라 지도자, 심판, 행정종사자, 트레이너 등 다양한 활동자들이 포함돼 실제 현장에서 체육을 이끌고 있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응원이 되는 제도랍니다.
2025년에는 총 6,582명을 대상으로, 1차 지급은 8월 중, 2차 지급은 11~12월 중에 진행될 예정이에요.
신청 방법
신청은 크게 온라인 신청과 방문 신청,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 온라인 신청
-
경기민원24에서 로그인 후 본인 신청
-
반드시 크롬/엣지 브라우저 이용 권장
-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설치 필요
✔ 방문 신청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군 체육부서 방문
-
대리 신청도 가능, 단 위임장 + 신분증 사본 필요
제출 서류
서류는 유형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아요.
📌 기본 제출서류
-
신청서
-
개인정보 제공 및 행정정보 동의서
-
주민등록등본 (연계 안 될 경우)
-
사회보장급여 관련 증명서 (해당자만)
📌 유형별 증빙서류 예시
-
선수등록확인서
-
대회참가확인서 또는 입상실적
-
재직증명서 또는 고용계약서
-
지도자등록확인서
-
자격증 사본
-
자원봉사 확인서 (10시간 이상 활동 시)
🎯 핵심은 증빙 가능성! 서류만 갖춰진다면, 심사에 통과될 확률이 매우 높아요.
신청 일정은 시·군별로 다르니 꼭 확인!
모든 신청은 각 시·군별 공고일에 따라 진행되며, 보통 8~10주간 접수기간을 운영해요. 이미 신청 시작된 곳도 있으니 아래 주요 지역 일정도 확인해 보세요!
시군 | 공고예정일/접수기간 | 문의처 |
수원시 | 9월 중 / 10주간 | 031-228-3204 |
양주시 | 9월 중 / 10주간 | 031-8082-5614 |
화성시 | 9월 중 / 10주간 | 031-5189-2148 |
오산시 | 10.1~ / 8주간 | 031-8036-7954 |
평택시 | 9월 중 / 10주간 | 031-8024-3261 |
이천시 | 8월 중 / 8주간 | 031-644-4304 |
안양시 | 8월 중 / 8주간 | 031-8045-5601 |
안성시 | 7.31~ / 8주간 | 031-678-2482 |
시흥시 | 7.21~ / 8주간 | 031-310-2144 |
구리시 | 7.21~/ 9.15 | 031-550-8920 |
파주시 | 9월 중 / 10주간 | 031-940-4831 |
의왕시 | 10월 중 / 8주간 | 031-345-2542 |
김포시 | 7.21~/ 8주간 | 031-980-2599 |
포천시 | 8월 중 / 8주간 | 031-538-3112 |
의정부시 | 10월 중 / 8주간 | 031-828-4372 |
양평군 | 9월 중/ 10주간 | 031-770-2927 |
광주시 | 9월 중 / 10주간 | 031-760-1723 |
동두천시 | 8월 중 / 8주간 | 031-860-2283 |
하남시 | 8월 중 / 8주간 | 031-790-6206 |
과천시 | 7.31~ / 8주간 | 02-3677-2146 |
광명시 | 7.14~/ 9.8 | 02-2680-6027 |
가평군 | 10월 중 / 8주간 | 031-580-2146 |
군포시 | 10월 중 / 8주간 | 031-390-0845 |
연천군 | 9월 중 / 10주간 | 031-839-2145 |
신청 전 꼭 해당 시군 체육부서에 문의해보세요. 선착순 마감 가능성도 있으니 빠를수록 좋아요!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지원 자격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을 받기 위해선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해요. 생각보다 문턱이 높지 않아서, 서류만 잘 준비하면 누구나 도전해볼 수 있어요!
① 주민등록 기준
2025년 7월 1일 기준, 경기도 24개 참여 시·군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해요.
용인, 고양, 남양주, 성남, 부천, 안산, 여주는 이번 사업에 참여하지 않아요.
② 소득 조건
중위소득 120% 이하, 즉 월 소득인정액이 2,870,416원 이하여야 해요.
이는 행복e음 시스템을 통해 자동 확인되기 때문에 별도 소득증빙은 필요 없어요.
(단, 연계 안 될 경우엔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어요.)
③ 연령 기준
만 19세 이상, 즉 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라면 신청 가능해요.
④ 체육활동 유형 조건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지원 가능합니다!
현역선수
지도자 (전문/생활체육)
심판
선수관리자 (트레이너 등)
체육행정 종사자
활동 유형별 세부 조건은 어떻게 다를까?
자세히 들어가 보면 각 유형마다 조금씩 다른 요건과 제출서류가 있어요. 대표적인 유형별 조건을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1. 현역선수
경기도 소속으로 대한체육회·장애인체육회에 등록된 선수여야 해요.
최근 3년간 1회 이상 대회 참가 실적 필요 (도 단위 이상 대회 포함)
2. 지도자
선수 출신 여부에 따라 구분돼요.
자격증 소지 + 1개월 이상 재직(또는 10시간 이상 자원봉사) 필요
생활체육 지도자는 입상 실적 + 자격증 + 근무경력 확인 필요
3. 심판
선수 출신 or 생활체육 출신 둘 다 가능
최근 3년간 매년 1회 이상 심판 활동 실적 필요
자격증은 필수 아님, 경력확인서만 제출해도 가능
4. 선수관리자/행정종사자
선수 출신이면서 현재 관련 직무 종사자
트레이너, 물리치료사, 체육회 직원 등도 포함돼요
💡 내가 현역선수·지도자·심판·행정에 해당되는 활동을 하고 있다면, 증빙만 가능하다면 대부분 신청 가능해요!
주의사항 꼭 체크하세요!
-
타 복지사업과의 중복수급으로 인해 수급 자격 탈락이나 급여 감액이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은 사전 상담이 필수예요.
-
주소 변경 시 2차 지원금 못 받을 수 있어요. 10월 1일 이후 다른 지역으로 전출한 경우, 2차 75만원 지급이 불가하니 꼭 유의하세요.
-
서류 위조 시 전액 환수 및 고발 조치. 신청서류는 반드시 사실대로! 관련 법률 적용돼요.
2024년 시범사업 당시, 일부 기준이 까다롭다는 지적이 많았는데요. 이에 따라 2025년에는 조례가 개정되어 지급 대상이 생활체육 지도자, 지역 심판 등으로 확대됐어요.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도 이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보다 현실적인 기준으로 보완한 것이죠.
2025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은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니에요. 경기도가 체육인을 공적 노동자로 인정하고, 지속가능한 체육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기반이에요. 많은 체육인분들이 이 제도의 존재를 모르고 지나치는 일이 없도록 꼭! 주위에도 공유해주세요.